Spring (6)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그인구현] Spring-React 로그인 구현하기(Security)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프링부트와 리액트를 활용해 로그인을 구현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순서는1. 프로젝트 초기화2.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3.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4. JWT 토큰을 활용한 로그인 구현입니다. 네번째는 Security + JWT Token 로그인 구현입니다. JwtProviderSpring Security에서 JWT를 생성, 검증, 토큰 해석을 하는 클래스 입니다.사용자 로그인이 완료되면 JWT 토큰을 생성하거나 인증정보를 확인합니다.생성자public JwtProvider(@Value("${hiro.jwtSecret}") String jwtSecret.. [로그인구현] Spring-React 로그인 구현하기(Security)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프링부트와 리액트를 활용해 로그인을 구현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순서는1. 프로젝트 초기화2.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3.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4. JWT 토큰을 활용한 로그인 구현입니다. 네번째는 Security 이론입니다. Spring Security란스프링 보안은 강력하고 고도로 사용자 지정 가능한 인증 및 액세스 제어 프레임워크입니다.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한 사실상의 표준입니다. Spring Security는 Java 애플리케이션에 인증과 권한 부여를 모두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 프레임워크입니다. 모든 Spring 프로젝트.. [Spring] Swagger 적용하기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프링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해당 포스팅은 Swagger 정리입니다. 서론Swagger는 RESTful API를 웹 단에서 설계, 빌드, 문서화, 테스트하는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가 효율적으로 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문서화에도 도움을 줍니다. Spring Boot와 함께 Swagger를 적용하면 백엔드 개발자는 API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팀 간 협업 및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Swagger와 OpenAPI의 개념,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Swagger.. [로그인구현] Spring-React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세션)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프링부트와 리액트를 활용해 로그인을 구현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순서는1. 프로젝트 초기화2.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3.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4. JWT 토큰을 활용한 로그인 구현입니다. 세번째는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입니다.서론이전 쿠키 포스팅에서 STATELESS한 HTTP 프로토콜에서 STATEFUL한 서비스를 위한 장치로 헤더에 쿠키를 저장하는 로직으로 설계하였습니다.하지만 해당 방법은 개인 정보들을 브라우저 단에 저장하여 위변조 및 도용이 쉽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보안적인 부분은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서 관리하여 외부로 해당 개인.. [로그인구현] Spring-React 로그인 구현하기(쿠키)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프링부트와 리액트를 활용해 로그인을 구현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순서는1. 프로젝트 초기화2.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3.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4. JWT 토큰을 활용한 로그인 구현입니다. 두번째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입니다. 서론기본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통신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HTTP는 stateless입니다. 이는 단순히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서버가 응답을 내려주기에 이전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않습니다.하지만 저희는 장바구니에 얼만큼의 상품이 들어가있는지 등 stateful한 구조가 필요로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서 쿠.. [Spring]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에 대해 알아보자!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프링 정리를 위한 포스팅입니다.해당 포스팅은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의 역할과 특징 정리입니다. 도입Spring 프레임워크는 계층구조로 코드를 나누어 각 계층마다 역할을 분리하였습니다.(객체 지향적 특징)이와 같은 계층 구조는 코드의 역할 분리를 명확히 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Presentation Layer: 클라이언트의 요청 처리Business Layer: 비즈니스 로직 처리Persistence Layer: 데이터 접근 처리클라이언트와의 요청 처리는 @Controller, 비즈니스 로직..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