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CP

(3)
[기술면접] 네트워크 5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접은 글을 통해 먼저 답변을 해보시고 제가 정리한 답을 확인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면접 리스트GET, POST 방식의 차이점더보기GET 및 POST는 서버에서 특정 동작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HTTP 메서드입니다. GET은 주로 조회할 때 사용되고, 불필요한 요청을 제한하기 위해 요청이 캐시될 수 있습니다. 서버에게 동일한 요청을 여러번 전송하더라도 동일한 응답이 돌아와야 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OST는 서버에게 동일한 요청을 여러번 하더라도 응답은 항상 다를 수 있습니다. POST는 주로 서버의 상태나 데이터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데 생성에는 ..
[기술면접] 네트워크 3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접은 글을 통해 먼저 답변을 해보시고 제가 정리한 답을 확인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면접 리스트여러개의 프로세스가 존재할 때 트랜스포트 레이어의 동작을 설명해보세요더보기응용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 socket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프로세스에게 전달합니다. 각 socket에는 매핑되어 있는 port 넘버가 있고, port 넘버는 호스트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구분합니다. 이 포트 넘버를 소켓에 바인딩하고 데이터를 보낼 때에는 트랜스포트 레이어에서 제공하는 포트 멀티플렉싱을 합니다. 데이터를 받을 때에는 전송계층은 세그먼트 헤더의 대상 포트넘버를 검..
[기술면접] 네트워크 2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아직 많이 부족하고 배울게 너무나도 많습니다. 틀린내용이 있으면 언제나 가감없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접은 글을 통해 먼저 답변을 해보시고 제가 정리한 답을 확인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면접 리스트소켓이란 무엇인가요?더보기응용 프로그램에서 TCP/IP 기반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응용프로그램과 transport layer를 연결해주는 역할로, 두 머신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양쪽에 생성되어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양방향,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interface입니다.소켓이 구현됨으로써, 네트워크 및 전송 계층의 캡슐화가 가능해집니다.쿠키와 세션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더보기HTTP 프로토콜은 connectionless를 지향하고 stat..